- 편입

일반편입 학사편입 차이 보고 야무지게 계획하기

다옴에듀 2025. 3. 27. 18:52

일반편입 학사편입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반편입 학사편입
차이를 보고 야무지게 계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능 점수가 안 돼서
또는 내신 점수를 신경 쓰지 않아

전문대에 급급하게 
입학한 사람들이나

혹은 진급이나 이력서의 스펙
아니면 자신의  꿈을 펼치려고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는 게
일반편입 또는 학사편입
일거에요

이런 학력 개선의
기회를 이용해

꿈을 이룬 사례를
얘기해 드리려 합니다

저는 국가 제도를 이용해
꿈을 이룬 김oo라고 합니다

저는 컴공 전문대를 
졸업한 학력으로

취직이라는 벽에 막혀
전전긍긍하고 있었습니다

일반편입 학사편입

이러한 길 위에서 
어떻게 하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끊임없이 생각했죠

제가 찾은 방법은

일반편입을 통해 전문대

졸업이라는 학력을 개선하는 것이었어요

그러나 경쟁률이 높아 이내
떨어지고 말았죠

다음에는 꼭 
성공하겠다는 마음으로
방법을 찾아보니


국가제도를 이용해
학사편입에 대한 조건을 갖춰
시도할 수 있었습니다

모집요강을 통해

상세히 살펴봐야 되지만

 

공통적인 요소의

차이를 살펴보자면

 

일반편입

- 전문대 졸업

- 4년제 2학년 수료

- 학은제 80점

 

학사편입

- 4년제 졸업

-학은제 140점

 

이렇게 걸려 있죠

 

친구를 통해서 알게 된 사실은
대학마다 이 조건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는 것이었죠

 

이 중 학은제는 교육부의

학력 개선 시스템으로

점수제로 운영이 되며

 

정해진 양을 모으면

학위를 발급 받게 되는 방식이에요


4년제를 나와야 되는 만큼

경쟁률이 현저히 낮게 형성되어 있어

 

일반편입 학사편입 차이를

비교해 보고 학력을 올리기로

결심을 했습니다


그럼 제가 이용했던 국가 제도에 대한 특징들을
하나하나 짚어보며 전달해 드리도록 할게요

일반편입 학사편입

일반편입 학사편입을
대비하기 위해서

 

거쳐가야 되는 국가

제도에 관해 봤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의
보유자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했죠

수업 들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었어요

장소나 시간적인 제약이

미미해서 추가적인 공부나 일
또는 개인 일정과 조율이 수월했습니다

수업을 통해 이수 가능한 학점은
1년에 42점 1학기에 24점으로
제한이 되어 있었죠

이 때문에 140점을 모으기 위한
기간이 정해지게 돼요

여기서 수업 외의 방안들을
사용해 추가로 점수를 이수하면

이 기간을 짧게 
줄이는 게 가능했죠

이러한 것들은 조교와 같은

학습 선생님을 통해 알게 되었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점수를 목표치까지 모으게 되면

정규 대학과 마찬가지로
일반대학이나 전문대를 졸업한 것과

동일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편입 학사편입

여기서
일반편입 학사편입을 진행하면서
제가 이용했던 방법들을 기준으로

기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우선 전적대라는 것으로
기존에 졸업한 전문대의
학력을 인정받아

점수를 받는 것입니다

저는 이를 통해 
80점을 인정받았으며

이는 4학기에 해당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간단한 행정처리로만

채울 수 있어서 편했죠

 

조금이라도 더
더 빠르게 기간을 가져와야 된다
생각했기 때문에

두 번째 방안인 자격증도 
준비를 했어요

가지고 있던 전공 라이선스가

마침 14점을 인정받았죠

또한 전문 선생님을 통해 알게 된
경제 신문사 라이선스를 따서
18점을 받을 수 있었죠

 

이건 1달 좀 넘게

걸렸던 걸로 기억하네요


이렇게 전 자격증을 이용해
총 32점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받으면 총 112점으로
4점만 더 있으면 1학기 과정으로
끝마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수단인
독학사라는 방법으로

총 4단계로 이루어진
과목들을 통과해 점수를 
이수받는 방식이에요

저는 낮은단계 1과목을
통과해 점수를 채웠고

목표로 하는 과정까지의 기간 중
1학기라는 시간만 소요할 수 있었죠 

일반편입 학사편입

위의 방법들을 이용해,

일반편입 학사편입의 
기간을 줄이고 남은 점수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이수했습니다

1학기에 15주 과정으로 진행이 되며
매주 주 단위로 녹화된 동영상이
업로드되어

14일 안에 시청하면 출석이 
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나 장소의 문제로
걱정할 필요 없었죠

덕분에 독학 시험이나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수업을 이수했습니다

과제는 주제와 기간이 주어지고
리포트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걱정이 좀 되긴 했지만

몇몇 과목은 전문 선생님께서
방향을 바로잡아 주셔서
해결했어요


시험은 지켜보는 감독관이 없어
집에서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부담 없이 진행했습니다

일반편입 학사편입

 

이렇게 무사히 졸업에 성공해 
지금은 대학원까지 진출했습니다

비록 저는 야무지지 못하게
일반편입을 한번 보고 
결정을 했지만

여러분들은 이러한 시행착오 없이
1학기 만에 바로 준비해

학사편입을 도전하는 것도

효율적인 방인라고 봅니다

목표로 하는 방향이

멀고 험해 보이더라도

 

오늘 전해드린것과 비슷한

국가 제도들이 마련되어 있으니

잘 알아보고 
찾아가셨으면 좋겠네요

모두들 각자마다

꿈이라든지 원하는

일이 다 다르겠지만

목표가 생긴다는 기쁨을
느껴봤으면 좋겠네요


활기찬 마음으로
꿈이나 목표를 향해
나아갔으면 합니다

여기까지 일반편입 학사편입 
야무지게 계획하기에 대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반편입 학사편입

 

 

 

 

 

일반편입 학사편입